Family Site

Welcome to Zack's Mobile Blog. *** FAMILY SITE : Johnny's Blog & Jay's Blog

Saturday, February 6, 2021

[Zack's BookCafe] 부의 인문학

 

금본위 화폐가 사라지면서 정부는 금이 없어도 마음대로 돈을 찍어낼 수 있게 되었다. 결구 정부는 경제가 침체될 때마다 천문학적인 돈을 찍어내게 된다. 이렇게 돈을 마구 찍어내면 돈의 가치가 떨어져서 인플레이션이 오게 되는데, 이런 시스템하에선 돈을 빌린 사람이 득을 보게 된다. 돈을 빌려서 실물 자산인 부동산에 투자한 사람은 더 큰돈을 벌게 된다. 시간이 지나면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빚 가치는 떨어지게 마련이다. 바로 이런 게 자본주의 게임의 법칙이다. p31

승산이 없는 전쟁을 시작하는 것은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 이 이치를 깨닫는 데서 전략적 사고가 시작된다. 그러니 전략적 사고 없이, 이길 가능성도 없는 싸움을 선택하여 무조건 열심히 하면 망하는 지름길이라는 것이다. 주식 투자도 그렇고, 사업도 그렇고, 직업 선택도 그렇다. p48

경쟁하기 싫고 노력하기도 싫고 책임지기도 싫은 미성숙한 대중이 쉽게 원하는 게 무엇일까? 이럴 때 달콤하게 등장하는 정치 세력은 파시스트나 공산주의 같은 전체 주의자다. 이들은 대중에게 고민할 필요가 없다고 속삭인다. 그냥 모든 건 정부가 다 해준다고 약속한다. 그것도 공짜로 말이다. 그렇게 해서 불안한 대중은 자유로부터 도피해서 노예의 길을 선택하는 것이다. 노예의 길을 걷지 않으려면 대중이 자유를 받아들일 수 있을 만큼 성숙해야 한다. 어린애처럼 요구만 할 게 아니라 스스로 노력하고 경쟁을 받아들이고 책임을 질 줄 아는 성숙함을 가져야 한다. p65

1가구 다주택자는 주택 건설에 자본을 대는 장기적인 주택 공급자 역할을 한다. 정말 중요한 포인트는 주택을 공급하는 사람은 건설 회사가 아니라 집을 사는 1가구 다주택자라는 점이다. 집을 사는 사람이 있어야 주택 공급이 늘어날 것이다. 다주택 보유자가 서로 경쟁할수록 전세가와 집값이 내린다. 결국 1가구 다주택자 때문에 국가 전체적으로 주택 공급이 늘어서 주택 가격이 안정되고 무주택자도 좀 더 유리한 조건에 전세를 살 수 있다. p140

교육을 받지 않으면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기 쉽고 태양이 지구를 돈다고 믿기 쉽다. 우리는 본능적 직관에 따르면 그래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배워야 한다. 정치인은 왜 분양가상한제를 하려고 할까? 경제 원리에 무지한 투표자의 표를 얻기 위해서,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p142

케인스는 주식 투자에서 승리와 성공은 언제나 소수만이 누릴 수 있는 것이지 결코 다수가 함께 누릴 수 없다고 보았다. 부자와 승리자는 항상 소수라는 점에서 공감이 가는 말이다. 그래서 케인스는 어떤 종목이 좋게 보인다고 발표했을 때 다수가 동의하면 오히려 투자하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p154

가치 투자자들은 어떻게 돈을 버는가? 장밋빛 전망을 가진 주식은 비현실적으로 올라가고 비관적인 전망을 가진 주식은 비현실적으로 떨어진다. 가치 투자자들은 남들이 비관적이어서 팔 때 헐값에 사고 남들이 장밋빛이라고 살 때 비싸게 판다. 그런 다음에 평균으로 회귀가 작동한다. 그러면 결과적으로 가치 투자자들은 이익을 얻게 된다. p167

장기적인 수익률로 보면 주식과 부동산의 투자수익률이 예금 이자율보다 높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주식과 부동산 투자를 못하는가? 손실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다. 손실에 대한 고통이 이익의 기쁨보다 2.5배 정도 강하기 때문이다. p190

주식 투자를 해보면 경험상 몇몇 종목에서 대박이 나서 전체 수익률을 결정한다는 걸 알게 된다. 20퍼센트에 해당되는 소수의 종목에서 전체 투자 수익의 80퍼센트를 얻고, 반면에 80퍼센트에 해당되는 종목에서는 전체 투자 수익의 20퍼센트만을 얻는다. 주식 투자에서 큰돈을 번 사람들 대부분은 소수의 종목에서 대박이 났다. 투자하는 종목 모두에서 수익이 높았던 것은 아니다. 피터 린치 역시도 이런 주장을 했다. 그는 "꽃을 꺾고 잡초에 물을 주는 어리석은 행동을 하지 말라"라고 조언했다. p223

시장경제에 대한 현장 경험도 없고, 사업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도 전혀 없이 오직 글과 말로만 먹고사는 좌파 지식인들이 뒤처지고 낙오한 대중을 선동할 것이다. 자본주의 시스템이 낳은 불평등과 격차만 들이밀어 보여주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분배와 자본주의 시스템의 전복뿐이라고 하면서 말이다. 좌파 지식인들이 그렇게 비판에 앞장서고 선동하는 이유는 비판과 선동만이 그들의 존재 가치와 영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p236

잘 살기 위해서는 노력과 재능도 중요하지만 줄을 잘 서야 한다. 개인도 국가도 마찬가지다. 줄을 잘 서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전략적 사고를 해야 한다. 전략적인 사고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일단 먼저 글로벌 흐름을 잘 파악해야 한다. 글로벌 흐름을 잘 파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부분을 알고 전체를 알고, 전체를 알고 부분을 알면 된다. 또 전체와 부분이 어떻게 연결되어서 작동하는지 알면 된다. 이런 식으로 파악하지 않으면 매일 신문을 보고 뉴스를 봐도 산발적이고 지엽적인 정보만 얻을 뿐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가 없다. p288

부의 인문학★★★(브라운스톤, 오픈마인드, 2019.10.4) Feb 5, 2021

Zack's Comment

인간의 부를 향한 끝없는 욕망,

부를 추구하는 삶이 죄악시되는 사회,

성장과 분배에 대한 극단적인 대립,

.

.

인생에 정답이 없듯이...

부를 향한 인간의 욕망의 바람직한 방향 혹은 대안 없을 것이다.

다만, 그 크기의 차이만 존재할 뿐 욕망 없는 인간은 없다는 전제하에..

그동안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았던 '부'에 대한 학습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00세 시대를 맞은 작금의 현실 속에 '워라밸'이라는 신조어가 있다.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뜻으로 "Work and Life Balance"의 준말이다.

그것은 더 이상 근로 소득으로 남은 삶을 유지할 수 없다는 반증이고,

자본 소득은 개개인의 필요조건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시대 흐름에 맞는 '부'를 향한 노력은 이제 필수 조건이 되었고, 무조건적인 '부'를 추구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삶에 대한 인문학적 훈련이 더욱 절실히 필요해졌음을 인지한다면 '워라밸'이라는 이 시대에 맞는 트렌드 한 삶을 살 수도 있을 것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