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익주의는 더 높은 도덕적 선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려는 정치철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좌익들은 원칙이 아니라, 달성해야 할 어떤 더 거대한 도덕성에 관심을 갖는다. 이들의 관점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그들이 도덕적으로 선하다고 하는 그 기준이 주관적이라는 것에 있다. 오늘날 더 높은 도덕적 선으로 간주되는 것은 경제적 평등이다. p70
헤리티지 재단 회장인 케이 콜스 제임스는 이런 글을 썻다.
정부의 복지 정책을 국가가 아니라 가정에서 시행한다고 가정해 보자. 나는 아들에게 '얘야 너는 일할 필요가 없단다. 내가 평생 돌봐 줄 게.'라고 말하거나 딸에게는 '원하는 만큼 마음껏 아이를 낳아도 된다. 내가 양육비를 전부 대 줄께.'라고 말할 것이다. 이런 가정의 20년 후 모습은 어떤 모습이 되었을까? 당신의 아들들은 당신 집에 얹혀 사는 백수들이 되어 있을 것이고 딸들은 사생아만 수두룩하게 둔 미혼모가 되어 있을 것이다. 당신의 가정이 훨씬 더 빈곤해지리라는 것은 굳이 말할 필요도 없다. p87
민주당이 갑자기 대규모 불법 이민을 지지하게 된 것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가까운 미래에 그들의 정당에 표를 던져 줄 새로운 희생양이 필요하게 될 날이 오게 될 것을 그들은 알고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이 낙태를 '출산 건강 관리'라는 이름의 꾸준히 옹호하고 있다. 자식을 돌보아야 할 부모의 책임을 내던져 버릴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낙태 산업은 사람들의 무책임을 독려하는 복지 제도와 놀랍도록 비슷한 모습을 띠고 있다. p95
사회주의란 약속된 '선'의 가장 마지막 형태, 곧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숭고한 자비'라는 이름 뒤에 감추어진 최악의 시스템이다. 사회주의의 진실은 처음 사회주의가 돕기로 약속한 그 수많은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이 무자비하게 학살되고 극도록 가난해졌을 때에야 비로소 드러난다. 사회주의의 완벽한 실패의 역사를 생각해 보면, 아직까지도 사회주의가 그대로 실행되고 있는 곳이 있다는 것이 신기할 지경이다. p149
진정으로 자유로운 사회의 각 개인은 마땅히 스스로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자유란 어디에서 오는가? 개인의 소득에서 온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스스로를 부양할 줄 알아야하고 어떤 형태로든 가치에 기여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그런 다음에야 우리는 번 돈을 어떻게 지출하고 저축할지 결정할 수 있는 자유를 손에 넣게 된다. 다시 말해서 자유란 책임을 완수할 때에야 비로서 따르는 보상인 것이다. p164
가장 큰 목소리로 학교 선택 정책을 반대하는 민주당 정치인들이 정작 본인들의 자녀들은 사립 학교에 보내고 있다는 점이다. 나는 이 가증스러운 위선이야말로 그들의 사악한 정치적 의도를 보여주는 증거라고 생각한다. 교육받지 못한 흑인 아이는 교육받지 못한 어른으로 자라게 되고, 교육받지 못한 어른은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사람들보다 대중 선동에 의해 훨씬 더 쉽게 통제된다. 민주당은 이 사실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p181
우리는 '자유가 공짜가 아니다"라는 표현을 자주 듣곤 한다. 이제 정확히 무엇을 의마하는 것일까? 그것은 자유라는 것이 넓은 초원에 서서 태양을 향해 얼굴을 들어 올린 젋은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자유는 친구들과 놀러 나가고 싶은 욕망을 참고 집에 앉아서 공부하고 있는 젊은 여성의 모습일 하고 있다. 뛰어나 학업 성취도를 이루어 내서 마침내 일류 대학교에 합격하는 젊은 남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자유란 이렇듯 우리가 특권을 누리기 위해 한 개인으로서 치러야 하는 희생이요, 책임이다.
로널드 레어건 대통용은 이런 유명한 말을 남겼다. "자유란 소멸되기까지 한 세대보다 멀리 있지 않다. 자유는 저절로 다음 세대에 물려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자유는 계속 싸워 내고, 지켜 내고, 다음 세대에게 넘겨줘야 한다. p186
공자가 남긴 명언 하나가 더 있다. "진짜 지식은 자신의 무지 정도를 아는 것이다."
이 명언에서 당신이 무엇을 해야 할지 선책하라. p274
블랙아웃 ★★★☆(캔디스 오웬스,반지현 2022.3.15) Feb 17, 2025
Zack's Comment
"Freedom is not a free."
I find myself walking the path of wandering for a long time. I stop for a moment along the way and think. During that time, I really wanted to be free in every possible way, but I never felt peace of mind with freedom.
It’s because I just wanted to be free without making any effort for the rest of my life.
Remember that, fundamentally, life is not always happy. I have to accept this first and then try to resolve uncomfortable situations from time to time. Only then I can reach out to what I want to be.
No comments:
Post a Comment